연구 논문은 매우 표준화된 형식을 따른다. 연구 논문의 각 섹션에는 독자가 찾고자 하는 핵심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며, 자신의 논문을 작성할 때도 이 구조를 따라야 한다.
제목→초록→서론→연구방법→결과→논의/결론
1. 제목(Title): 논문에 대한 독자의 주의를 끌고 간결하게 주요 주제를 서술
일반적으로 제목은 연구의 주제 또는 범위를 기술해야 하며 해당 분야의 독자에게 제목 자체로 설명이 되어야 한다. 다양한 학문 분야에 걸쳐 제목에는 분야에
따라 뚜렷한 선호가 있다는 것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또한, 각 저널은 저자 대상 지침을 게시하고 있으며, 그것에 따라 당신이 수행할 수 있는 것이 제한될 수도 있다.
스스로에게 묻기
- 제목이 주의를 끄는가?
- 간결하지만 강렬하고 명확한가?
- 연구의 주제를 보여주는가?
제목 예시
아래 예시와 같이 다수의 제목들은 명사구들과 전치사들로 이루어져 있다.
- Prediction of reinforcement corrosion using corrosion induced cracks width in corroded reinforced concrete beams
부식된 철근콘크리트 보의 부식유발 균열폭을 이용한 철근부식 예측
- Probabilistic model for steel corrosion in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of large dimensions considering crack effects
균열 효과를 고려한 대형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철 부식에 대한 확률적 모델
- Application of a LTCC sensor for measuring moisture content of building materials
건축자재의 습도 측정을 위한 LTCC 센서 적용
- Long‐term mortality associated with acute kidney injury in children following congenital cardiac surgery
선천성 심장수술 후 어린이의 급성 신장손상과 관련된 장기사망률
- Damage control resuscitation in trauma
트라우마의 손상관리 소생술
- Recent advances on plasmin inhibitors for the treatment of fibrinolysis‐related disorders
섬유분해 관련 장애의 치료를 위한 플라스민 억제제의 최근 발전
몇몇 주제는 의문문의 형태 로 제시될 수 있다.
- After 20 years of using economic evaluation, should NICE be considered a methods innovator?
경제 평가 사용 20년, NICE는 방법 혁신으로 간주될 수 있는가
- Should we change targets and methods of early intervention in autism, in favor of a strengths-based education?
강점 기반 교육을 위해 자폐증에 대한 조기 개입의 대상과 방법을 바꿔야 하는가?
최근에는, 콜론을 이용한 주제 제시가 증가하고 있다.
- Covid-19: important potential side effects of wearing face masks that we should bear in mind
K-12에 대한 AI 구상: 모든 어린이들이 AI에 대해 알아야 할 것은 무엇인가?
- Envisioning AI for K-12: What should every child know about AI?
강점 기반 교육을 위해 자폐증에 대한 조기 개입의 대상과 방법을 바꿔야 하는가?
- Pytorch: An imperative style, high-performance deep learning library
Pytorch: 필수 스타일, 고성능 딥러닝 라이브러리
- Problems of translation: Onegin in English
번역의 문제들: Onegin영어로 옮기기
2. 초록(Abstract): 논문의 간략한 개요를 제공하고 논문의 중요성을 강조
초록은 수행된 연구에 대한 설명을 포함하거나 주요 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구조화된 초록을 요구하는 저널들의 초록은 배경, 목적, 방법, 결과, 그리고 결론과 같이 논문에 있는 것과 유사한 부제목들로 구성된다. 대략 다음과 같은 내용과 분량으로 구성한다.
구조 |
(대략적인) 분량 |
배경(Background) |
1~2문장 |
목적(Purpose) |
1문장 |
방법(Methods) |
1문장 |
결과(Results) |
2~3문장 |
결론(Conclusion) |
1~2문장 |
스스로에게 묻기
- 연구 목적이나 연구 문제를 포함했는가?
- 연구의 중요성이 명확하게 서술되었는가?
- 저널이 요구하는 단어 수가 있는가?
초록은 현재형 또는 현재완료형 문장으로 시작하는 반면, 방법과 결과를 설명하는 문장에서는 과거형을, 결론 부분에서는 현재형을 사용하는 경향이 강하다는
점을 유의할 필요가 있다.
C. 서론(Introduction): 논문을 읽는 독자들을 초대하고 독자들에게 당신의 연구를 이해할 수 있도록 충분한 맥락이나 배경 정보를
제공
서론에서는, 연구의 중요성을 서술하고 연구와 관련된 일반적인 이슈들에 대해 토론한다. 여기서는 연구한 주제와 관련된 배경 정보 뿐만 아니라 폭넓은
개요를 제시해야 한다. 이후 연구한 주제에 대한 문헌과 연구를 간략히 요약한 후, 연구 문제를 제안 및 서술한다. 여기서 연구 주제에 대한 상세한 이력을 포함시킬 필요는 없다.
대신에 연구 주제가 최근에 어떻게 이해되고 있는지를 서술한다.
스스로에게 묻기
- 서론은 독자들의 관심을 끄는가?
- 독자를 문제 설정으로 이끌 수 있는 일련의 논리가 있는가?
- 독자들에게 맥락을 제공했는가?
- 연구의 중요성과 목적이 명확하게 서술되어 있는가?
- 연구 격차를 서술했는가?
- 역삼각형 구조를 따랐는가?
서론의 주요 목적은 연구의 맥락을 설정하는 것이므로 인용문을 과도하게 사용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 연구를 소개할 때 불필요하게 길면 지루함을 줄 수 있다.
문제 설정을 기술하는데 있어 다음과 같은 일반적인 오류를 저지를 수 있다.
- 독자들이 우리가 이미 답을 알고 있다고 생각해서 ‘ 이미 답을 알고 있다면 왜 연구를 하는가?’라고 잘못 생각하게 만드는 것
- 관련없는 이슈들에 대해 서술하는 것. 단순히 흥미롭다는 이유로 포함시겨서는 안되고, 관련된 내용만을 공유해야 한다
- 인용문 및 참고문헌을 과도하게 사용하는 것. 이것은 독자들이 논리적인 사고의 흐름을 따르는 데 방해가 된다.
- 논리적으로 증명할 방법도 없이 진술하는 것. 적절한 이론과 문헌을 사용하여 연구 문제를 서술해야 한다.
- 학위 논문 작성자를 위해: 서론에 설명된 내용은 관련 문헌에 대한 상세하고 포괄적인 리뷰를 포함한다. 어떤 문제에 대해 우리가 이미 알고 있는 것, 모르는 것, 그리고 알고 싶은 것에 대해 생각해 보라. 연구의 방향을 설정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이론적 틀을 개발해라. 정량적 연구를 완성하는 중이라면, 연구의 핵심 변수를 밝히고 이들 사이의 관계를 제시하라. 정성적인 연구를 수행하는 경우는, 개념이나 주제를 밝혀라.
D. 방법(Methods): 실험적인 접근법 또는 기술을 사용하여 어떻게 결론을 도출했는가를 설명
잘 설계된 연구는 신뢰할 수 있으며 유효한 결과를 기대하게 한다. 연구 방법 부분은 상세하고 주의깊게 설명되어야 한다. 여기서는 참가자 또는 주제, 자료, 도구, 절차 및(또는) 정의와 같은 하위 섹션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섹션에서는 연구한 것을 서술하고 있기 때문에 과거형으로 써야 한다는 것을 기억할 필요가 있다.
스스로에게 묻기
- 연구에 사용했던 방법을 모두 포함했는가?
- (다른 연구자들이 내 연구조사를 복제할 수 있을 정도로) 세부 내용을 충분히 포함했는가?
- 방법들이 논리적으로 정리되어 제시되는가?
이 부분에서는 데이터가 수집된 방법과 시기를 기술해야 한다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 연구 작업을 추적하기 위해 데이터 수집 프로세스를 보여 주는 시각적 분류표를 만들 수 있다.
세부 항목 Subsections |
예시 Example |
누가 조사도구를 받았는가 Who received the instrument |
참가자 X, Y, Z... Participants X, Y, Z... |
참가자들이 언제 조사도구를 받았는가 When did the participant received the instrument |
(각 참여자들의) 년/월/일 MM/DD/YEAR (for each participant) |
참가자들에게 조사도구가 어떻게 제공되었는가 How was the instrument provided to the participant |
X와 Y는 연구자가 만든 줌에 초대받았다. 그들은 소회의실로 가라는 요청을 받았다. 준비됐다고 하면, 채팅 기능을 통해 그들에게 설문조사가 주어졌다 Participants X and Y were invited to the zoom that the researcher created. They were asked to go to the breakout room. Once they said they were ready, a link to the survey was given through a chat function. |
누가 조사도구를 작성했는가 Who completed the instrument |
참가자 X, Y, Z... Participants X, Y, Z... |
조사도구를 작성하는데 몇 시간이 걸렸는가 How many hours did it take to complete |
2시간 2 hours |
E. 결과(Results) : 연구의 주요 학술적 기여도를 설명
결과 부분에서는 사용했던 접근법 또는 절차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연구 결과를 설명한다. 이 부분은 어떠한 주장이나 편견 없이 논리적인 순서로 사실을 간단히 기술해야 한다.
스스로에게 묻기
- 주요 발견을 보고했는가?
- 그림과 도표를 이용해 데이터를 설명했는가?
- 연구 결과가 논리적으로 그룹화되어 제시되었는가?
결과 부분에서는 다른 연구와 결과를 비교하거나 결론을 제공하지 않는다. 결과 부분에서 발생하는 가장 일반적인 실수 중 하나는 “결과 섹션”에 데이터를 포함시키면서, (연구) 결과를 제공하지 않는 것이다. 데이터의 예들은 연구자가 행했던 조사에서 도출한 참가자들의 인용문이나 실제 수치일 수 있다. 데이터는 보통 표와 그림으로 제시된다. 결과 섹션은 그 데이터가 나타내는 내용을 요약하거나 설명하는 진술들로 구성되어야 한다.
F. 토론/결론(Discussion/ Conclusions) : 연구의 주된 발견을 분석/해석하고 그것에 기반한 결론을 발전시킴.
이 부분에서는 획득한 데이터가 연구조사 문제에 어떻게 답하는지, 그리고 조사 결과가 시사하는 바는 무엇인지를 보여줘야 한다.
스스로에게 묻기
- 토론 초반부에서 서론에 제기된 질문에 답했는가?
- 연구 결과의 중요성을 설명했는가?
- 연구 결과를 이전 연구들과 비교/대조했는가?
-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 조사 문제들을 포함했는가? (어떤 분야에서는 선택적일 수 있음)
다시 강조하지만, 일반적으로 결과 부분은 사실적 진술과 그 해석으로 구성되며, 토론 부분은 결과에 대해 제기될 수 있는 주장으로 구성된다. 인과 관계를 다루고, 설명을 제안하고, 더 많은 인원으로 일반화하거나, 연구에서 특정 사건이 발생한 이유를 제공할 때 한정사(예: ~처럼 보이다, ~인 것 같다, 가능한, 아마도, ~로 예상되는)를 사용할 수 있다.
Hie-Myung Jo, Ed.D.,
Associate Director of the Institute of American Language and Culture, Fordham University, NY
(번역: 김은영 - 전남대학교 HK 사업단 연구교수)